전체 글 50

스테로이드

출처 :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tocheol&logNo=220795566196 스테로이드제는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필요한 약물로서 장기간 복용을 지속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부작용 때문에 무서운 약물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도 많지만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처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만 하면 분명히 유용한 약물임에 틀림없다. 스테로이드약은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약,부신피질 호르몬약 등으로 불린다. 신장위에있는 부신의 피질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약물이다. 이 부신피질 호르몬은 우리들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약이 필요한 질병은 다양하다. 내복제및 주사제 이외에도 외용..

크레오신티외용액 1% 물약 사용 후기 (지루 피부염, 모낭염)

출처 : ssossoblog.tistory.com/77 지긋 지긋한 모낭염 치료 과정 중에 사용해본 크레오신티외용액 1%(이하 크레오신) 사용 후기에 대해 적어볼게요. 크레오신은 물약으로 된 바르는 항생제 개념이고, 스테로이드 성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아요. 지루 피부염, 모낭염 치료를 위해 처방받았었고, 에스로반과는 다르게 처방전이 있어야 구입이 가능한 약품이에요.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은 부작용 때문에 멀리하기에 크레오신은 스테로이드가 없어서 두피랑 얼굴에 발랐었어요. 상처 난 부위, 뾰루지가 터진 부위는 피해서 바르라고 하셔서 (상처 난 부위에 바르면 엄청 따가워요,,,) 요리조리 피해 가면서 나름 소량만 도포했어요. 나름 정말로 소량만 바른다고 했는데 지루 피부염, 모낭염 부위가 넓게 퍼져있고 뾰루지..

[약 이야기] 가려움증 심한 노인, OO연고 오래 발랐더니 혈관 확장 부작용 발생

출처 : 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19114 [중앙일보헬스미디어] 입력 2018.04.13 15:54 / 김선영 기자 #27 종류별 피부 연고제 사용법 집집마다 피부 연고제 한 두 개쯤은 갖고 있을 겁니다. 넘어져 피부가 까졌거나 습진이 생겼을 때 흔히 바르죠. 피부 연고제는 우리에게 친숙한 의약품이지만 의외로 어떤 질환·증상일 때 사용하는 건지 모르고 바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심코 발랐다가 피부질환이 더 악화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이번 약 이야기 주제는 ‘비슷비슷하지만 알고 보면 다른 피부 연고제 사용법’입니다. 피부 연고제는 상온에서 쉽게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한 반고형 제제입니다. 연고제는 피부에 퍼지고 그 위에 막을 형성..

★ 모낭염 여드름 차이. '이것이' 달라요.

출처 : blog.naver.com/ahskddua/221492420949 모낭염과 여드름! 둘다 같은 염증의 증세이며 각기 다른 세균이 침범하여 다른 증상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각기 다른 원인 때문에 다른 치료 방법이 중요합니다. ​ 다양한 예시를 보겠습니다. 저 개인적인 의견보다는 다양한 분들의 생각. 논리가 더 중요하니까요.!! 모낭염 - 황색 포도균 증상으로 인한 모낭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고 ​ 여드름 - acne 에 의한 피지선에 염증이 생기는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낭염에 제일 중요한 것은 피지선이 없는 부위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진하고 두꺼운 흉터가 남기 쉽습니다. 그래서 여드름과 모낭염을 제대로 구분하여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저는 이분의 블로그를 읽..

에스로반 베아로반 차이 알고 바르시나요?

출처 :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hskddua&logNo=221494236285&categoryNo=8&proxyReferer= ​ 오늘은 베아로반과 에스로반에 대해서 알아볼 것인데요! 아쉽게도 박트로반은 단종되었기 때문에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 ​ ​ 그냥 네이버 검색창에 에스로반과 베아로반의 차이라고 치면 간단하게 결과가 나옵니다. ​같은 무피로신 성분이라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 없다고 다들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베아로반과 에스로반을 둘다 사용하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바를 때 질감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에스로반은 박트로반에 비해 더 잘 발리며 끈적함이 덜합니다. ​ ​ ​ 중요한 것은 다들 같은 성분이라고 생각하셔서 두개 중 무엇을 써도..

후시딘,마데카솔 차이점?박트로반,에스로반 차이점이 뭘까

출처 : m.blog.naver.com/rayharp/222021658263 후시딘 마데카솔 차이점에 이어서 박트로반,에스로반,베아로반까지 이야기를 해볼까 하는데요 또 여드름에 써도 되는지까지 정리해볼까 합니다 ​ 2016년쯤에 여드름에 후시딘을 여드름에 발라도 되냐는 질문을 처음 받았던것 같은데요 그때는 정리가 안되어 있던 상태라서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 앞서 * 후시딘 & 박트로반 = 상처 초기부터 일주일 정도 바르고 * 마데카솔 = 그 이후에 마무리로 바르기 ​ 쉽게 생각해보면 연고는 오일의 비율이 많은 타입이며 크림은 중간정도의 제형 겔은 흡수가 가장 잘 되는 타입입니다. ​ 후시딘 히드로 크림은 또 일반적인 후시딘 크림과 다르게 스테로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요 ​ 히드로코르티손 아세트..

후시딘VS마데카솔, 상황따라 다르게 선택을

출처 : 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7/2018051701633.html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8.05.17 14:46 누구나 크고 작은 상처를 경험한다. 병원에 가지 않아도 되는 큰 상처는 잡에서 연고 등을 통해 관리하는데, 상처별로 관리법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종이에 스쳐 생긴 상처는 항생제가 포함된 연고보다 재생력이 뛰어난 연고를 선택하는 게 좋다. 작은 상처는 굳이 연고를 바르지 않아도 된다. 상처 부위를 소독한 뒤 바셀린 등을 발라 촉촉하게 해주기만 해도 금방 낫는다. 놓치기 쉬운 상처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상처 감염 위험 파악하기 상처가 생기면 먼저 감염 위험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크..

'상처엔 어떤 연고 써야하지?'...성분따라 활용도 달라요

출처1 : 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805256&memberNo=23324110&vType=VERTICAL 출처2 : 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183964&category=C 심평원, 일선 약사 사용법 소개...약·밴드는 보조적 방법일 뿐 심평원은 최근 윤수진 약사의 '엄마가 챙겨주는 올바른 의약품 사용법'으로 우리 아이 상처 치료 올바른 소독법과 연고 고르기를 공개했다. 특히 상처 지혈 후에는 포비돈요오드액이나 과산화수소수와 같은 소독약을 사용 후 연고 사용법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상처 연고의 경우 대부분 항생제 성분이 들어있어 상처 부분의 추가적 감염을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연고에 따라 효능 및 효..

여드름에 국민 연고 '후시딘'을 바르면 생기는 효과

출처 : 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408646&memberNo=40848952&vType=VERTICAL 국민 연고 마데카솔과 후시딘은 효능이 같을까? 상처가 나면 만능 연고라고 불리는 마데카솔이나 후시딘을 바릅니다. 그런데 두 연고는 사실 연고의 색만 보더라도 성분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상처 부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해야 순기능을 얻을 수 있는데요. 그런데 놀랍게도 마데카솔과 달리 후시딘은 여드름 부위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여드름을 압출 후 마데카솔을 바른 후기를 보면 새살 대신 여드름이 재발하거나 하는 부작용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째서 같은 상처연고임에도 후시딘은 여드름에 발라도 괜찮은 걸까요?..

4가 백신 종류 (녹십자, SK케미칼 등)

출처 : blog.naver.com/hjoo1984/222089918461 2020년 올해는 유아 및 고령자 4가 백신은 무료라고 하네요.(GSK 4가 백신은 제외) 4가 백신의 종류도 여러가지이니 확인하시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 4가 백신이 3가보다 더 많은 종류의 독감을 예방할수 있다고하네요. ​ 국내 업체중에는 녹십자와 SK케미칼이 있는데 녹십자가 오래된 이력을 갖고 있네요. ​ Sk케미칼의 경우는 계란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맞아도 되는 백신이라고 하네요. ​ * 올해 4가 무료 접종에서 GSK는 빠지고 유료 접종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 * 녹십자 - A형 바이러스 2종(H1N1, H3N2) / B형 바이러스 2종 (빅토리아, 야마가타) 4종의 바이러스 예방 - 국내사 최초 4가 독감백신 개발..